반응형 인프라3 AWS RDS로 MariaDB 생성 + 접속해보기 이 포스트에서는 AWS RDS에서 MariaDB를 생성하고 AWS EC2에서 생성한 MariaDB에 접속해보는 과정을 기록하겠습니다. 이 포스트는 이전 AWS EC2의 환경설정 포스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아래 URL의 이전 포스팅을 먼저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koiking.tistory.com/4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Java어플리케이션 실행환경 구축하기-1(AWS회원가입 + 키페어 설정 + IAM Java로 만든 프로그램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은 Windows에서 실행되기보다는 Linux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전에 다니던 회사,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도 Java로 만든 koiking.tistory.com https://koiking.tisto.. 2021. 6. 6.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Java어플리케이션 실행환경 구축하기-2(EC2 인스턴스생성 + EC2에 접속 + Java실행 환경구축)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 밒 접속해보고 Java 실행환경을 구축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트와 연계되는 내용이므로 먼저 지난 포스트를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 지난 포스트는 아래의 URL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https://koiking.tistory.com/4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Java어플리케이션 실행환경 구축하기-1(AWS회원가입 + 키페어 설정 + IAM Java로 만든 프로그램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은 Windows에서 실행되기보다는 Linux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전에 다니던 회사,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도 Java로 만든 koiking.tistory.com ※ 주의사항 1. 이 포스트는 AWS의 EC2 서버상에 환경을 구축하므로.. 2021. 5. 5. 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Java어플리케이션 실행환경 구축하기-1(AWS회원가입 + 키페어 설정 + IAM설정) Java로 만든 프로그램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은 Windows에서 실행되기보다는 Linux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전에 다니던 회사,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도 Java로 만든 프로그램은 Linux 운영체제에서 실행하고 있으며, 한국의 상황은 잘 모르겠지만 최소한 일본의 회사에서 Java 프로그램은 Linux에서 실행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거기에 현재는 실제 물리서버에서 클라우드 서비스(AWS, GCP 등)로 서버를 이전하는 추세입니다. 제가 현재 다니고 있는 회사는 조금 오래된 대기업으로 원래 직접 물리 서버를 들여와서 데이터 센터, 애플리케이션의 상용서버 환경을 구축해 왔었는데, 제가 입사하기 몇년 전부터 단계적으로 AWS로 서버를 이전하고 있습니다. 개발업무의 비중이 높은 개.. 2021. 5. 4. 이전 1 다음 반응형